목록분류 전체보기 (71)
작심 365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공식 홈페이지를 보면 다음과 같이 나와있다. https://www.typescriptlang.org/ Typed JavaScript at Any Scale. TypeScript extends JavaScript by adding types to the language. TypeScript speeds up your development experience by catching errors and providing fixes before you even run your code. www.typescriptlang.org TypeScript extends JavaScript by adding types.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에 타입을 추가했다. By understandi..
DOM JavaScript 한테 HTML 파일이 넘어오면 이 HTML 파일을 JavaScript는 어떻게 해석할까? 우리야 HTML 파일을 보고 , , 각각의 태그들이 하는 역할들을 알수 있지만 사실 JavaScript 에게 HTML 파일은 그냥 문자열일 뿐이다. JavaScript 는 HTML, CSS를 control 하기위해 나온 언어이다. 따라서 그냥 문자열로만 인식한다면 HTML을 제대로 제어할 수가 없다. 그래서 이 HTML을 JavaScript가 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어떤 형태로 바꿔줘야 했다. 그게 바로 DOM이다. DOM은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로 해석하면 문서 객체 모델이다. 그러면 당연히 객체의 형태로 존재할 것이라는 것을 짐작할수 있다. 따라서 자바스크립트가..
인터넷(Internet) 인터넷은 컴퓨터로 연결하여 TCP/IP 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 이다. 즉, 인터넷이란 컴퓨터끼리 TCP/IP 라는 어떤 통신 프로토콜(규약)을 사용해서 정보를 주고받으며 소통하는 공간이라고 보면 된다. 웹(web) World Wide Web이란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인터넷과 같은 의미로 많이 사용되지만, 정확히 말하면 인터넷 상에서 인기있는 서비스중 하나일 뿐이다. * 인터넷은 웹 서비스 말고도 원격연결(Telnet), 전자우편(E-mail), 화일전송(FTP) 등이 있다. 웹에는 수많은 웹 사이트들이 있고 하나의 웹 사이트는 수많은 웹 페이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지금 보고있는 이 화면도 ..
HTTP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로 hyper text, 즉 문서간의 링크를 통해 이동하는 html을 전송하는 프로토콜로 처음 시작되었다. 지금은 모든 데이터를 이 http protocol에 담아서 전송한다.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영상 등 모두. http는 1991년부터 계속해서 upgrade 되어왔다. 간단하게 버전별로 특징을 보자. HTTP/0.9 :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 X ( 즉, HTML 파일만 전송 가능( HTTP/1.0 : 요청에 대한 성공과 실패를 알 수 있음. HTTP 헤더 도입 (HTML 파일 외에 다른 문서들도 전송 가능) HTTP/1.1 : 표준 프로토콜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며 가장 중요한 버전. 대부분의 기능 포함. ..
1. IP 인터넷 상에서 여러 컴퓨터들이 통신을 해야되는데 그때 사용하려고 만든 통신 규약이라고 보면 된다. 지정된 IP주소에 데이터를 전달하고 이때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 IP 프로토콜의 한계, 문제점 -비연결성 :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가 다운되어도 그런걸 모르고 무작정 보내기 때문에 제대로 받았는지 알수가 없다. -비신뢰성 : 목적지로 가는 중간에 패킷이 소멸되어도 알수가 없고, 패킷의 순서 또한 보장이 되지 않기때문에 내용이 뒤죽박죽이 될수 있다. 위와같은 문제점들때문에 TCP라는 프로토콜이 추가되었다. 2. IP 주소 IP랑 헷갈릴수 있는데 이유는 IP주소 를 줄여서 IP 라고도 부르기 떄문이다. 하지만 IP는 인터넷 통신 규약 자체를 나타내는 말이므로 두 용어..
html 파일은 웹 브라우저에서 읽을수 있는 파일이다. 거기에 여러 동적인 기능을 추가하고 페이지에 자꾸만 들어가고 싶게 만들려면 어느정도 예쁘게 꾸며줘야 된다. 그때 사용하는게 css 와 javascript 이다. css와 javascript의 경우 단독으로 웹페이지에서 읽을수가 없기 때문에 html에서 끌어와야 보여질수가 있다. 그럼 html 파일에 css 파일과 javascript 파일을 추가해야 되는데 그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 방법 -분리된 파일 추가 하기 이렇게 각각의 파일 세개가 같은 위치에 있을때 css 파일은 head 태그 안에, javascript 파일은 보통 body 끝부분에 넣어준다. 두번째 방법 - 한 파일안에 작성하기 css 의 경우 태그 안에 태그를 열어서 작성하면 되고..
Firebase 의 google login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는데 android studio 의 sha1 키값을 Firebase project 에 추가해 줘야된다고 한다. 그래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가서 sha1 키를 얻기위해 보니까 창 구성이 달라져서 구할수가 없었다...😯 원래라면 우측 상단에 Gradle -> 프로젝트 이름 -> Tasks -> android -> signingReport 를 클릭하면 쉽게 얻을수 있었다는데... 그런데 화면이 이렇게 바껴버렸다.... 그래서 열심히 찾아보다가 stackoverflow 에서 해결책을 찾게되었다. 질문 작성자도 android studio 버전을 4.2로 업뎃후에 Gradle task를 찾을수 없다고 했다. 해결방법은 File -> Setting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