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 (5)
작심 365
더보기 운영체제 과목을 듣고 학습한 내용 정리 CPU 구성 CPU를 구성하는 요소는 크게 3가지 1. 계산을 담당하는 ALU 2. CPU 자체를 제어하는 Control Unit 3. CPU 안에서 data를 저장하는 Register MAR (Memory address register) Memory의 어디서 data를 읽을지 그 주소값을 저장하는 register. 크게 LOAD와 STORE 명령을 수행한다. LOAD : MAR에 적힌 주소를 찾아가서 데이터를 읽어와서 MBR에 저장한다. STORE : MBR에 저장된 data를 MAR에 적힌 메모리 주소에 저장한다. MBR (Memory buffer register) Memory에서 읽어온 data를 CPU에 저장하는 저장공간 역할을 한다. PC (Prog..

IP주소란? 인터넷과 연결된 수많은 기기들이 존재합니다. 사람들이 서로 편지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각자의 집 주소를 알아야 하는 것처럼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도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주소가 필요합니다. 즉,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에 부여된 고유한 주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는 IPv4 와 IPv6가 있습니다. IPv4는 32bit 주소 형식을 사용하며 40억개 이상의 주소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4개의 10진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0~255 사이의 숫자가 올 수 있습니다. 각 숫자 8bit를 나타내고 마침표(.) 을 기준으로 구분됩니다. ex) 192.168.0.1 IPv6는 숫자(0~9)와 문자(A~F)로 구성된 8개의 16진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숫자는 4bit를 ..

쿠키 vs 세션 vs JWT 토큰 HTTP 프로토콜의 특징 중 하나는 무상태성입니다. 무상태성은 상태를 가지고 있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전 요청과의 상태 공유를 할 수 없습니다. 내가 이전에 한 요청을 기억하지 못한다면 요청간에 문맥이 전혀 없는 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들이 바로 쿠키, 세션, 토큰 입니다. 이 3개 모두 상태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쿠키 쿠키는 웹 브라우저에 저장되는 작은 데이터 단위 입니다. 웹 서버에서는 HTTP 응답 헤더를 통해 쿠키에 데이터를 넣어서 브라우저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시 브라우저에서 서버에 어떤 요청을 할때 이 쿠키를 같이 보낼 수 있습니다. 쿠키에는 주로 사용자의 인증 정보, 세션 식별자, 사용자..

HTTP 프로토콜 HTTP 프로토콜은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칙입니다. 주로 웹 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사용합니다. ▶ HTTP는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1. 클라이언트 요청 : 클라이언트(ex.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요청을 보냅니다. 요청 메세지에는 기본적으로 요청하는 리소스 (URL), 요청 방법 (HTTP 메서드), 헤더, 바디등의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2. 서버 응답 :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적절한 응답을 생성해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내려줍니다. 이때 요청에 따른 처리 상태를 명확히 하기 위해 응답 코드 정보도 함께 보내주는데, 응답 코드에는 성공을 의미하는 200, 요청의 결과를 찾을수 없는 404 등이 있습니다. HTTP는 주로 T..

1. 네트워크란? 네트워크는 분산되어 있는 노드(컴퓨터)들이 통신망을 통해서 데이터를 공유하고 통신하기 위해 연결된 구조를 말한다. 여기서 말하는 노드는 컴퓨터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프린터, 라우터 등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는 모든 기기들을 말한다.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장비와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네트워크는 크게 무선과 유선으로 나뉜다. 유선의 경우는 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대표적인 예로 이더넷(Ethernet)과 광섬유 케이블이 있다. 무선의 경우는 전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대표적인 예로 Wi-Fi, 블루투스 등이 있다. 네트워크는 다양한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대표적으로 노드, 라우터, 스위치가 있다. 1. 노드 (Node)..